|   | 
             
  | 
            
             1. 용어의 정의(MMF) 
            'Money Market Funds'의 약자로 투자신탁회사가 고객들의 자금을 모아 펀드를 구성한 다음 금리가 높은 만기 1년 미만의 기업어음(CP)·양도성예금증서(CD)·콜 등 주로 단기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하여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되돌려주는 만기 30일 이내의 초단기금융상품입니다.  
             
            MMF는 예금의 성격과 유가증권의 성격이 혼재되어 있으나, 실무에서는 MMF를 예금 성격으로 보아 단기금융상품(제예금)으로 분개하면 되겠습니다. 
             
            2. 분개사례 
             
            ① [MMF 매입] 
            MMF 2천만원을 매입하고(매입시 기준가격 1,014.18/ 1,000), 보통예금에서 인출하여 지급하다.   
            : 구입좌수 19,720,365 [20,000,000 ÷ 매입시 기준가격(1,014.18)× 1,000]  
             
              (차변)  제예금 20,000,000   /  (대변) 보통예금 20,000,000 
             
            ② [MMF 매도] 
            MMF 20,000,000원(구입좌수 19,720,365)을 매각하다. 매각 당시 1,000원당 기준가격은 1,030.25원으로 MMF 평가금액은 20,316,906원이며, 평가차익 316,906원(20,316,906 - 20,000,000)에 대한 이자소득세 14% 44,360원, 지방소득세 4,430원을 공제한 잔액 20,268,116원이 보통예금에 입금되다. 
            : 평가차익 = 매각좌수(19,720,365) × [매각시 기준가격(1,030.25) - 매입시 기준가격 (1,014.18)]  
             
            (차변)  보통예금 20,268,116   (대변) 제예금 20,000,000 
            (차변)  선납세금 44,360          (대변) 이자수익 316,906 
            (차변)  선납세금 4,430 
             
             
             ------    SSABU '  tip  
            위와 같은 복잡한 평가는 금융기관이 알아서 해줄 것이므로,  
            회사에서는 최초 MMF로 입금한 금액(제예금: 2천만원)과 최종 다시 회수한 금액(보통예금: 20,268,116)을 분개하고, 선납세금을 차변처리한 후에, 최종 대변차액 금액을 이자수익으로 분개하여 차대변을 일치시키시면 되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