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없는 경우 생산직근로자 비과세 적용은? - 싸부넷

  • 나의 일정
  • erp바로가기

  • 최신댓글리스트 더보기
    Erp사용질문 실무Q&A
    게시판타이틀 원천징수 실무 / 상세보기
    추천수 373 | 조회수 6,466 | 등록일 2019-03-11 13:48:14

    제목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없는 경우 생산직근로자 비과세 적용은?

    글쓴이

    관리자
    내용

     


     

    올해에 입사하여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없는 경우

    입사하여 받을 총급여액이 25백만원 이하라면 비과세 적용 대상인가요?

    작년에 입사한 근로자가 현 근무지에서 받은 총급여액은 25백만원 이하이고

    종전 근무지 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하지 않아 그 전 급여액을 모르는 경우 어떻게 해야하나요?


     
     
     

    당해 과세기간 신규 입사자는 직전 과세기간의 근로소득이 없는 것이므로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25백만원 이하자에 해당하여 총급여 요건 이외 요건을 갖춘 경우라면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의 비과세 적용이 가능합니다.

     

    중도입사자의 경우 직전년도 총급여액이 25백만원 이하 요건을 갖추어야 하므로 해당 근로자로 하여금 종전근무지의 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하도록 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원천징수영수증은 종전근무지의 발급을 요청하거나 국세청의 지급명세서등 제출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관련법령 ]

     

     

    소득세법 시행령 제17생산직근로자가 받는 야간근로수당 등의 범위

     

    법 제12조 제3호 더목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근로자"월정액급여 210만원 이하로서 직전 과세기간의 법 제20조 제2항에 따른 총급여액이 25백만원 이하인 근로자(일용근로자를 포함한다)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 경우 월정액급여는 매월 직급별로 받는 봉급급료보수임금수당, 그밖에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해당 과세기간 중에 받는 상여 등 부정기적인 급여와 제12조에 따른 실비변상적 성질의 급여는 제외한다)의 총액에서근로기준법에 따른 연장근로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를 하여 통상임금에 더하여 받는 급여 선원법에 따라 받는 생산수당(비율급으로 받는 경우에는 월 고정급을 초과하는 비율급을 말한다)을 뺀 급여를 말한다.

     

     

     
     
    추천
    목록
    원천징수 실무 전체목록 (113)
    번호
    모든 게시물의 저작권은 싸부넷에 있습니다
    조회
    108
    임원이 사용인으로 변경시도 현실적인 퇴직에 해당하는지? [5]
    7,647
    107
    과세소득을 비과세소득으로 잘못 기재하여 지급명세서를 제출한 경우 가산세는?
    6,902
    106
    연구활동비 비과세는 기업부설연구소에 등록된 연구원만 가능한가? [1]
    8,053
    105
    기타소득 신고분을 사업소득으로 수정 신고시 가산세는? [1]
    8,637
    104
    재학중인 운동선수에게 아무런 조건없이 장학금을 지급하는 경우 원천징수는?
    5,982
    103
    해외건설근로자가 월중에 귀국 또는 출국하는 경우 비과세되는 급여는?
    4,379
    102
    20세이하 자녀세액공제 관련 내용 총정리 [12]
    6,144
    101
    상여금에 대한 원천징수세액 계산방법 [18]
    11,902
    100
    소송 결과에 따른 연말정산 수정신고시 보험료 소득공제 적용시기는?
    4,640
    99
    전년도에 발생한 자녀학자금을 당해년도에 신청하여 지급할 경우 귀속시기 [1]
    4,014
    98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의 총지급액은 비과세금액을 합한 금액을 적어야 하는지? [10]
    10,487
    97
    협력사 직원에 대한 출장비 및 회의참석수당 지급시 원천징수 및 처리방법 [1]
    12,601
    96
    업무용승용차 사적사용분 인정상여 처분시 연말정산 반영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8,495
    95
    야간에 근무하는 교대조에게 현금으로 식대를 지급한다면 비과세로 인정받을 수 있나요?
    5,263
    94
    근로자가 간이세액조견표에 따른 원천징수세액을 120%로 하여 급여 공제를 요청하는 경우는? [1]
    5,204
    93
    야근식대를 실비정산 없이 야근일수당 8천원을 정액으로 지급해도 되나요? [1]
    7,935
    92
    DC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경우 별도로 추가 퇴직위로금을 지급하는 경우는?
    13,650
    91
    상품권을 할인하여 구입한 경우 근로소득 합산금액은 액면가인지 할인한 금액인지 [1]
    7,311
    90
    자사 의류브랜드 홍보 목적으로 운동선수에게 의류 협찬시 원천징수를 해야 하나요?
    5,204
    89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없는 경우 생산직근로자 비과세 적용은?
    6,466
    88
    연말정산 결과 임원의 추가 소득세를 대납하고 매월급여에서 분할징수하는 경우
    6,975
    87
    중국인에게 번역료를 지급하는 경우 원천징수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6,070
    86
    해외 건설공사 현장의 일용근로자 국외근로소득에 대한 비과세 적용이 가능한가요?
    6,955
    85
    열심히 일하고 포상휴가로 여행을 떠났던 당신_돌아와보니 급여가 올라갔다고? [1]
    3,924
    84
    세무회계사무실 직원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감면을 적용받을 수 있나요?
    7,540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