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을 뜻하는 '금일', 선임의 동의어인 '고참', 물건의 흠이 난 모양새를 의미하는 '기스' 등 평소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는 말 중 상당수가 일본말이다.
'민족 말살 정책'의 하나로 과거 우리나라 말을 못쓰게 해 아직까지 잔재로 남아있는 표현을 짚어봤다.
Tooniverse
1. 땡깡부리다
땡깡부리다의 '땡깡'은 일본어 '뗀깡'(てんかん)을 그대로 착안한 단어이다.
뗀깡은 간질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일제 강점기 당시 일본에 복종하지 않는 우리나라 사람들을 비하할 때 사용됐다.
따라서 '생떼 부리다'라는 말로 반드시 순화해야 한다.
2. 무대포
일의 앞뒤를 잘 헤아리지 않는다는 뜻을 내포한 '무대포'는 일본어 '무뎃포'(無鐵砲)에서 비롯된 말이다.
이는 우리말인 막무가내 혹은 무모로 순화해 사용해야 한다.
Instagram 'merry_5940'
3. 땡땡이
물방울 모양을 일컫는 '땡땡이'는 일본어 '텐텐'(点点)을 우리 식으로 읽은 것이다.
'땡땡이'는 우리 말에선 '물방울'로 순화해 표현하는 것이 옳다.
4. 노가다
건설 현장의 고된 일을 일컫는 '노가다'는 일본어 임을 알면서도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다.
아무리 일상에서 널리 사용 중이어도 '막노동' 혹은 '막일'이라는 우리말로 순화해야 한다.
5. 와꾸
'와꾸'(わく)는 테두리나 틀이라는 뜻의 일본어로, 건설 현장에서 자주 쓰이고 있다.
최근 한국의 10~20대 사이에서는 "와꾸가 별로다"라며 상대의 외모를 비하하는 비속어로 사용되고 있다.
Instagram 'choco_chunk_'
6. 모찌
모찌는 찹쌀로 만든 떡을 뜻하는 일본어 '모찌'(もち)를 그대로 읽은 표현이다.
이는 종종 신문에서도 사용할 만큼 널리 퍼진 말이지만 '찹쌀떡'으로 반드시 순화해야 한다.
7. 삐까번쩍
삐까번쩍은 반짝반짝을 뜻하는 일본어 '삐까삐까'(ぴかぴか)와 우리말 번쩍번쩍이 합쳐진 것이다.
이는 같은 뜻이 반복된 잘못된 표현으로 삐까를 제외한 '번쩍번쩍'으로 사용해야 한다.
권길여 기자 gilyeo@insigh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