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경우  별도로 추가 퇴직위로금을 지급하는 경우는? - 싸부넷

  • 나의 일정
  • erp바로가기

  • 최신댓글리스트 더보기
    Erp사용질문 실무Q&A
    게시판타이틀 원천징수 실무 / 상세보기
    추천수 331 | 조회수 13,724 | 등록일 2019-03-15 23:47:09

    제목

    DC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경우 별도로 추가 퇴직위로금을 지급하는 경우는?

    글쓴이

    관리자
    내용

     


     

    DC형 퇴직연금에 가입되어 있습니다.

    2017.12.29 퇴사자가 발생하여

    2018. 1.12 DC에서 퇴직금이 지급 되었고

    그 후 1월에 퇴직위로금으로 회사에서 직원계좌로 따로 지급되었습니다.

    은행으로부터 연금계좌원천징수증을 받아 회사에서 지급한 금액과 합산하여 신고하려 합니다.

    이 경우 퇴직소득원천징수영수증에서

    은행에서 지급한 퇴직급여와 이연소득세를 어느 항목에 입력하여야 하는지요?

    12월 퇴사 1월 퇴직금 지급인데,

    퇴직소득지급명세서를 2017년 귀속으로 신고하여야 하는지 2018년 귀속으로 신고하여야하는지?


     
     
     

    확정기여형(DC)퇴직연금을 가입하여 근로자가 퇴직금을 지급받는 경우에는 해당 퇴직금에 대한 원천징수의무자는 퇴직연금사업자이므로 회사에서 별도로 원천징수등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확정기여형(DC)퇴직연금 외에 회사에서 직접 별도로 퇴직위로금 등 퇴직금을 추가 지급하는 경우에는 추가 지급분에 대한 퇴직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의무자는 회사가 되는 것입니다.

     

    추가지급하는 퇴직금은 확정기여형(DC)퇴직연금사업자가 이미 지급한 퇴직소득과 합산정산하여 원천징수하고 이미 발급한 '퇴직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수정작성하여 발급하는 것입니다.

     

    수정분 퇴직소득원천징수영수증 작성시 기 지급받은 퇴직소득은 퇴직소득원천징수영수증의 '중간지급등'의 란에 기재하고 추가지급한 퇴직위로금은 '최종'에 기재하여 합산된 퇴직급여는 '정산'란에 기재하면 되며, 기지급분에 대한 기과세이연세액은 '46'에 기재하는 것입니다.

     

    추가지급으로 재산정한 퇴직금에 대한 퇴직소득세 원천징수는 제 퇴직한 날을 귀속시기로 하고 추가 지급월을 지급월로 하여 추가지급분에 대해 별도로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를 하는 것이므로 퇴직일인 201712월을 귀속으로 하고 20181월을 지급월로하여 신고하면 됩니다.

     

     

     

     

    [ 관련예규 ]

     

     

     

    소득, 원천세과-766 , 2009.09.18.

     

    [ 제 목 ]

    퇴직소득금액 추가지급시 원천징수

    [ 회 신 ]

    공공기관 퇴직금규정에 기본금과 성과금을 포함한 급여액을 기준으로 퇴직금 산정하도록 되어 있고 성과금은 퇴직한 다음 해 정부의 경영평가에 따라 공시확정되면 지급할 수 있어, 성과금이 확정됨에 따라 재산정한 퇴직금을 퇴직한 다음 해에 추가 지급하는 경우 퇴직금에 대한 퇴직소득세 원천징수는 실제 퇴직한 날을 귀속연도로 하고 퇴직시 지급된 퇴직소득금액과 합산하여 지급하는 때에 하는 것입니다.


     

     

     
     
    추천
    목록
    원천징수 실무 전체목록 (113)
    번호
    모든 게시물의 저작권은 싸부넷에 있습니다
    조회
    93
    야근식대를 실비정산 없이 야근일수당 8천원을 정액으로 지급해도 되나요? [1]
    7,974
    92
    DC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경우 별도로 추가 퇴직위로금을 지급하는 경우는?
    13,724
    91
    상품권을 할인하여 구입한 경우 근로소득 합산금액은 액면가인지 할인한 금액인지 [1]
    7,357
    90
    자사 의류브랜드 홍보 목적으로 운동선수에게 의류 협찬시 원천징수를 해야 하나요?
    5,223
    89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없는 경우 생산직근로자 비과세 적용은?
    6,498
    88
    연말정산 결과 임원의 추가 소득세를 대납하고 매월급여에서 분할징수하는 경우
    7,020
    87
    중국인에게 번역료를 지급하는 경우 원천징수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6,096
    86
    해외 건설공사 현장의 일용근로자 국외근로소득에 대한 비과세 적용이 가능한가요?
    7,034
    85
    열심히 일하고 포상휴가로 여행을 떠났던 당신_돌아와보니 급여가 올라갔다고? [1]
    3,949
    84
    세무회계사무실 직원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감면을 적용받을 수 있나요?
    7,569
    83
    연말정산 결과 추가납부세액 100만원이 발생시 3개월 분할납부 방법과 절차는?
    6,714
    82
    퇴직자가 종전근무지에서 취업청년 감면신청을 하지 않고 퇴직한 경우 소득세 감면은?
    9,736
    81
    종전근무지에서 신청 못한 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 신청을 할 수 있는지요?
    7,412
    80
    연말정산시 기본공제대상자가 아닌 동생의 의료비 공제를 받기위한 조건은?
    6,766
    79
    연말정산시 의료비를 소득이 있는 어느 한 가족(아내가 남편, 아버지가 딸 등)에게 몰아주기 가능할까? [6]
    9,960
    78
    타 법인에게 자금 대여시 대여금에 대한 이자는 언제 원천징수를 해야 하나요?
    7,394
    77
    일용근로자에제 지급한 식대는 비과세 할 수 있나요? [1]
    10,072
    76
    전입신고 이전 임대차계약기간에 납입한 월세액은 공제할 수 없나요?
    4,665
    75
    해외 연락사무소에서 현지 인력을 채용하고 급여 지급시 원천징수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5,450
    74
    퇴사자 직무발명보상금을 기타소득로 원천징수시 필요경비가 인정이 되는지요?
    7,803
    73
    일용근로자가 정규직으로 전환시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을 적용받을 수 있나요?
    4,620
    72
    연도 중 세대원에서 세대주로 변경시 주택청약저축 및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소득공제는?
    5,717
    71
    2019년 세법이 개정됨에 따라 일용근로자 지급명세서 제출기한은 언제로 변경되었나요?
    5,036
    70
    외국인 일용근로자의 근로내역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지급명세서를 제출해야 하나요? [1]
    5,605
    69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관련 지식모음 [7]
    9,706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