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없는 경우 생산직근로자 비과세 적용은? - 싸부넷

  • 나의 일정
  • erp바로가기

  • 최신댓글리스트 더보기
    Erp사용질문 실무Q&A
    게시판타이틀 원천징수 실무 / 상세보기
    추천수 373 | 조회수 6,465 | 등록일 2019-03-11 13:48:14

    제목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없는 경우 생산직근로자 비과세 적용은?

    글쓴이

    관리자
    내용

     


     

    올해에 입사하여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없는 경우

    입사하여 받을 총급여액이 25백만원 이하라면 비과세 적용 대상인가요?

    작년에 입사한 근로자가 현 근무지에서 받은 총급여액은 25백만원 이하이고

    종전 근무지 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하지 않아 그 전 급여액을 모르는 경우 어떻게 해야하나요?


     
     
     

    당해 과세기간 신규 입사자는 직전 과세기간의 근로소득이 없는 것이므로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25백만원 이하자에 해당하여 총급여 요건 이외 요건을 갖춘 경우라면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의 비과세 적용이 가능합니다.

     

    중도입사자의 경우 직전년도 총급여액이 25백만원 이하 요건을 갖추어야 하므로 해당 근로자로 하여금 종전근무지의 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하도록 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원천징수영수증은 종전근무지의 발급을 요청하거나 국세청의 지급명세서등 제출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관련법령 ]

     

     

    소득세법 시행령 제17생산직근로자가 받는 야간근로수당 등의 범위

     

    법 제12조 제3호 더목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근로자"월정액급여 210만원 이하로서 직전 과세기간의 법 제20조 제2항에 따른 총급여액이 25백만원 이하인 근로자(일용근로자를 포함한다)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 경우 월정액급여는 매월 직급별로 받는 봉급급료보수임금수당, 그밖에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해당 과세기간 중에 받는 상여 등 부정기적인 급여와 제12조에 따른 실비변상적 성질의 급여는 제외한다)의 총액에서근로기준법에 따른 연장근로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를 하여 통상임금에 더하여 받는 급여 선원법에 따라 받는 생산수당(비율급으로 받는 경우에는 월 고정급을 초과하는 비율급을 말한다)을 뺀 급여를 말한다.

     

     

     
     
    추천
    목록
    원천징수 실무 전체목록 (113)
    번호
    모든 게시물의 저작권은 싸부넷에 있습니다
    조회
    93
    야근식대를 실비정산 없이 야근일수당 8천원을 정액으로 지급해도 되나요? [1]
    7,935
    92
    DC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경우 별도로 추가 퇴직위로금을 지급하는 경우는?
    13,650
    91
    상품권을 할인하여 구입한 경우 근로소득 합산금액은 액면가인지 할인한 금액인지 [1]
    7,310
    90
    자사 의류브랜드 홍보 목적으로 운동선수에게 의류 협찬시 원천징수를 해야 하나요?
    5,204
    89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없는 경우 생산직근로자 비과세 적용은?
    6,465
    88
    연말정산 결과 임원의 추가 소득세를 대납하고 매월급여에서 분할징수하는 경우
    6,973
    87
    중국인에게 번역료를 지급하는 경우 원천징수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6,070
    86
    해외 건설공사 현장의 일용근로자 국외근로소득에 대한 비과세 적용이 가능한가요?
    6,954
    85
    열심히 일하고 포상휴가로 여행을 떠났던 당신_돌아와보니 급여가 올라갔다고? [1]
    3,924
    84
    세무회계사무실 직원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감면을 적용받을 수 있나요?
    7,539
    83
    연말정산 결과 추가납부세액 100만원이 발생시 3개월 분할납부 방법과 절차는?
    6,655
    82
    퇴직자가 종전근무지에서 취업청년 감면신청을 하지 않고 퇴직한 경우 소득세 감면은?
    9,687
    81
    종전근무지에서 신청 못한 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 신청을 할 수 있는지요?
    7,372
    80
    연말정산시 기본공제대상자가 아닌 동생의 의료비 공제를 받기위한 조건은?
    6,742
    79
    연말정산시 의료비를 소득이 있는 어느 한 가족(아내가 남편, 아버지가 딸 등)에게 몰아주기 가능할까? [6]
    9,909
    78
    타 법인에게 자금 대여시 대여금에 대한 이자는 언제 원천징수를 해야 하나요?
    7,348
    77
    일용근로자에제 지급한 식대는 비과세 할 수 있나요? [1]
    10,040
    76
    전입신고 이전 임대차계약기간에 납입한 월세액은 공제할 수 없나요?
    4,624
    75
    해외 연락사무소에서 현지 인력을 채용하고 급여 지급시 원천징수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5,421
    74
    퇴사자 직무발명보상금을 기타소득로 원천징수시 필요경비가 인정이 되는지요?
    7,760
    73
    일용근로자가 정규직으로 전환시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을 적용받을 수 있나요?
    4,597
    72
    연도 중 세대원에서 세대주로 변경시 주택청약저축 및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소득공제는?
    5,678
    71
    2019년 세법이 개정됨에 따라 일용근로자 지급명세서 제출기한은 언제로 변경되었나요?
    5,033
    70
    외국인 일용근로자의 근로내역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지급명세서를 제출해야 하나요? [1]
    5,584
    69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관련 지식모음 [7]
    9,679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