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당했다." 한국 사회에서 불감증에 가까운 성폭력 인식이 '#미투'((Me too) 운동으로 크게 나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개인이 희생을 감내하는 폭로 방식에 기댈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목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보다 평등하게 살아갈 세상, '#미투' 너머를 짚어봤습니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① "예쁘다"는 말도 성폭력일 수 있어요
그간 일상에서 인사치레처럼 써 온 "예쁘다"는 말이 상대방에게 성적 수치심을 안겨 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 있는가.
한국성폭력상담소 이미경 소장은 "이른바 '외모품평'을 즐기는 사람들은 이내 '호의' 또는 '친근감의 표현'이라는 근거를 든다"며 "여기서 생각해 봐야 할 것이, 신입사원은 상사에게 '오늘 예쁘다'라는 말을 못하잖나"라고 꼬집었다.
"말하는 사람 입장에서 칭찬처럼 '예쁘다'는 표현을 쓰더라도 듣는 사람은 그것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그것이 상대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인권 문제와 연결돼 있다는 점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젠더 문제를 깊이 연구해 온 한림대 사회학과 신경아 교수에게 보다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그는 "다른 사람의 외모를 언급하지 않는 것은 예의"라고 선을 그었다.
"성폭력은 단둘이 있을 때에만 일어나지 않는다. (최근 성폭력 피해를 폭로한) 서지현 검사와 최영미 시인이 지적한 지점 역시 여러 사람이 있는 가운데서 벌어지는 신체 접촉뿐 아니라 '예쁘다' '치마가 어떻다' '몸매가 어떻다'는 식의 언어적 성폭력을 포함한다. 결국 외모품평은 맥락을 봤을 때 권력을 지닌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가하는 신체적, 언어적 표현이다."
신 교수는 "예를 들어 남성이 여성의 신체 조건을 언급하는 것은 순수하게 신체 조건을 언급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성적 대상화하는 코드로 작용한다"며 지적을 이어갔다.
"문화인류학·사회학에서는 '중층적 기술'(thick description)이라는 개념을 쓰는데, 쉽게 말해 특정한 언어나 몸짓이 전하는 메시지는 맥락에 따라 수없이 많은 의미를 지닌다는 의미다. 흔히 '권력형 성폭력'이라는 표현을 쓰잖나. 권력을 지닌 사람이 누군가에게 신체적인 언급을 하는 것은 성적인 욕망이나 요구를 드러내거나 자기 권력을 과시하는 것으로 읽을 수 있다."
그는 "우리가 알게 된 검찰이나 문단의 회식 자리에서 일어나는 성폭력의 맥락을 보면 '나는 너에게 이 정도는 할 수 있는 사람이야'라는 자기 권력 과시를 담고 있는 셈"이라고 분석했다.
칭찬일껄로 생각했던 한마디가 상대한테는 성폭력일수 있다는거...
참 난감하지만...상대가 싫어할수 있다니 저부터도 더욱 조심해야겠네요 ㅠ